[사설]-거대 양로원으로 변모하는 농촌 현실, 맞춤식 영농규모화 필요
[사설]-거대 양로원으로 변모하는 농촌 현실, 맞춤식 영농규모화 필요
  • 하동뉴스
  • 승인 2018.11.13 07: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지역 농촌이 ‘거대한 양로원’으로 변하고 있다. 전체 인구 중 60세 이상이 40%(1만9365명)이고, 40세 미만은 27.8%(1만31693)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농촌의 고령화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사태의 심각성은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데 있다. 방치한다면 머잖아 ‘농부 없는 농촌’이 될 것이란 우려마저 나올 정도다.

오늘의 농촌, 농업도 개방 시대의 험난한 파고에 직면해 있다. 위기를 극복하려면 맞춤식 영농 규모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농산물의 품질을 높여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젊은 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한편으로 영농 규모를 키우려면 농민의 이탈은 더 빨리 이뤄져야 한다. 노인층은 남고 청·장년층은 도시로 빠져나가는 식은 곤란하다.젊은 층이 농촌을 떠나는 이유는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생활여건 탓이다. 농촌은 소득 수준이 낮을 뿐 아니라 문화·의료시설도 열악하다. 특히 자녀교육 문제는 젊은 층에겐 최대의 고민거리라는 것이다. 무엇보다 오늘의 농촌사정이 앞으로 나아질 것이란 보장도 없기 때문이다.

농촌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농업을 포함한 농촌의 전반적인 구조조정이 필수적이다. 목표는 활력이 넘치는 살 만한 농촌, 젊은이와 어르신이 공존하는 공동체가 필요하다. 농촌사회의 고령화는 결국 농업, 나아가 농촌 자체의 피폐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도시민에게도 좋을 게 하나도 없다. 도시민도 농촌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다. 실제로 하동군의 맞춤식 영농규모화를 보자. 시설하우스 신축을 비롯해 시설 현대화, 농업기반시설, 저온저장고 및 가공시설, 농산물 선별기 등 4~5개 단위사업으로 된 농가별 맞춤식 영농규모화 기반조성 사업의 경우 지난 2014년부터 올해까지 5년 간 51억 6400만 원의 예산이 편성됐다.

이런 가운데 중도 포기농가도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 동안 모두 79농가에 이른다. 연도별로는 2014년 25농가, 2015년 24농가, 2016년과 2017년 각 15농가다. 이들 포기 농가들은 맞춤식 영농규모화 기반조성 신청 건수에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농촌의 고령화 문제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 우선 농가 소득을 적절한 수준으로 지지해줄 필요가 있다. 오늘보다 좀 더 과감한 전업농 육성책이나 맞춤식 영농규모화 등으로 젊은이가 농촌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시장원리만으로 농촌문제를 해결해서도 안 되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